본문 바로가기

주식 STUDY

은행에 저축하지 말고, 투자하자

반응형

  개인적으로 은행을 보는 관점이 최근에 완전히 변하게 되어 이 포스팅을 남깁니다. 은행은 "돈놓고 돈먹는" 장사입니다. 그리고 그 밑천은 예금자들, 즉 은행에 돈을 넣는 일반 시민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예금이 사라진다면 은행으로서도 지급준비제도에 따라 망할 수도 있습니다. 물론 거의 그럴일은 없겠지만요.

  은행에 대한 최근의 생각을 정리하면 아래 그림과 같습니다.

은행과 일반개인의 관계

  보통의 은행은 대출이자를 통한 마진보다는 투자를 통해 버는 이익이 더 커야하겠지만, 국내 은행은 투자에서 상당한 손실을 보고, 대출이자로 먹고산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낮아진 이자만큼 수익을 올리기 위해 예금이자를 줄여가고 있으며 대출역시 쉽게 진행하고 있지 않습니다. 하지만 여기서 안전자산으로 볼 수 있는 부동산을 담보로 잡은 주택담보대출의 비율이 높아지며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수익을 확보하고 있지만 그 수익성은 낮게 보여집니다.

  지급준비율 7%를 유지할 수 있다면, 은행은 절대 망하지 않을 기업체 중에 하나라는 얘기로 볼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투자의 관점으로 우량회사채나 국채와 비슷한 수준의 안정성을 갖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지속적인 투자 실패로 인해 미래가 보이지 않는 상황이죠. 투자금이 점점 줄어들고 시총이 줄어들 수 밖에 없는 상황이라 PBR이 낮고, PER이 높더라도 큰 매력을 지닌 투자처라는 인식이 생각보다 적습니다. 이를 타개하고자 배당성향이 최근 높아지고 있습니다.

  예금 이자와 배당이익률을 비교해보죠.

예적금 VS 배당금

  앞서 부모님께도 은행주 매수를 권유해드렸는데, 보통 20% 대의 배당성향을 보이고 있습니다. 그저 은행에 돈을 맡기는 것보다 최소 3배 이상의 수익률을 보입니다. 물론 이는 투자로 인한 수익감소를 포함해 이정도 였는데, 이를 배제하거나 개중에 하나 성공하기만 해도 배당수익률은 더 높아질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합니다. 

  은행에 예금해 은행이 수익을 올리게 도와주는 것 보다 은행에 투자해 주주로서 은행의 수익을 공유하는 것이 좀 더 현명한 투자라고 보여집니다.

반응형